반응형 요즘 이슈454 '서울시 안심소득' 7월부터 서울시 오세훈 시장의 핵심공약인 '안심 소득' 실험이 7월부터 시작된다고 합니다. 약간의 재산이 있더라도 소득이 적으면 혜택을 볼 수 있는 구조여서 취약계층 지원에 일조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서울시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안심 소득'이란 '중위소득 85%와 가구소득 간 차액의 50%를 3년간 지원해주는 제도'로 최저생계 지원을 넘어 소득이 적을수록 더 많이 지원하는 소득보장제도입니다. 예를 들어 소득이 전혀 없는 1인 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85%(165만 3000원) 대비 가구소득 부족분의 절반인 82만 7000원을 월마다 받게 됩니다. ※ 기본소득과 안심소득의 차이 기본소득: 재산이나 소득에 관계없음 안심 소득: 일정 소득과 재산을 고려함. 단, 약간의 재산이 있더라도 소득이 낮으면 지원받을 수 .. 2022. 2. 24. 청년희망적금, 가입대상과 납부 방법 그리고 문제점 최근 뜨거운 이슈로 떠오른 청년희망적금. 청년들의 자산형성을 돕기 위해 마련된 적금으로 가입대상이라면 반드시 들어야 하는 적금입니다. 현재 가입 기준에 대한 공정성 논란도 있지만 200만 명 이상이 가입할 것으로 예상되는 청년희망적금에 대해 알아봅니다. □ 청년희망적금 만 19세~34세 가입자가 2년 만기 시 최고 연 10.49% 금리 효과를 볼 수 있도록 설계한 적금으로 은행 이자 외에 정부가 예산으로 지원금을 추가로 지급하는 적금입니다. 청년희망적금 가입 대상 만 19~34세 청년 총 급여 3600만 원(종합소득금액 2600만 원) 이하 ※ 현재 2020년 소득 기준 적용(’ 21년 소득은 오는 7월 이후 확정) ※ 가입자 중 ‘21년 소득이 가입조건을 벗어나는 경우 정부장려금(2년간 최대 36만 원.. 2022. 2. 23. 1인 세신샵에 대해서 목욕 언제쯤 하셨나요? 코로나 장기화로 1인 세신 샵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세신 샵 이용 방법과 가격 등을 알아봅니다. 세신 샵이란 처음 뉴스에서 ‘세신 샵’이라고 했을 때 용어가 낯설어 이해를 못했는데 알고보니 ‘세신(洗身) + 샵(shop)’의 합성어로 ‘몸에 붙어 있는 때를 미는 가게’ 즉 ‘목욕탕’이라고 이해하면 되겠습니다. ※ 요즘엔 ‘때밀이’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죠. 세신사 또는 관리사라고 부른답니다. 1인 세신샵 우리에게 친숙한 대중탕은 코로나로 인해 많은 곳이 폐업을 했다고 합니다. 이런 중에 1인 세신 샵은 코 시국에 타인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는 프라이빗한 목욕탕으로 최근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여성 전용 세신 샵만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러한 인기가 계속될.. 2022. 2. 22. 신권 교환, 다음달부터 어려워져 한국은행은 다음 달 2일부터 화폐 교환 요청이 있더라도 새 돈이 아닌 사용된 화폐로 지급하게 된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알아봅니다. 신권 교환 불가 한국은행은 다음 달 2일부터 화폐교환 요청이 있으면 새 돈이 아닌 사용된 화폐로 교환해 준다고 밝혔습니다. 신권 발행에 따른 비용 절감이 목적이라고 합니다. 신권으로 교환할 수 있는 경우 다만, 예외 사항이 있습니다. 훼손이나 오렴이 심한 경우는 신권으로 교환해 줍니다. 명절 기간에도 예외적으로 신권으로 교환해 주는데 5만 원권은 1인당 100만 원으로 제한한다고 합니다. 한국은행의 이번 결정에 "신권 교환권도 통제를 하는 거냐?"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지만 "새 돈이나 헌 돈이나 동일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데 굳이 신권으로 바꾸려는 태도도 바뀔 필요가 .. 2022. 2. 22. 이전 1 ··· 79 80 81 82 83 84 85 ··· 11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