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우 가격이 내렸다고 하는데 정작 소비자들은 체감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뭘까요.
도매가격 폭락
한우 도매가격은 1년 전과 비교해 약 20% 정도 가격이 폭락한 상태입니다. 축산농가 증가로 인해서 사육두수가 증가한 원인이 큽니다. 공급이 늘어나다 보니 가격은 떨어지고 사료는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는 올라가 소를 키울수록 적자인 상황이라고 합니다.
판매가격은 그대로
축산 농가들은 생산 원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아우성인데 소비자들은 여전히 비싼 가격 때문에 지갑을 닫고 있습니다. 4인 가족이 한우로 외식을 한다고 하면 10~20만 원은 있어야 합니다. 요즘 같은 불경기에 한우로 외식하는 것이 쉽지 않은 이유입니다.
가격 부조화 원인
이렇게 축산농가는 가격이 떨어져서 울고 소비자는 가격이 비싸서 못 사 먹는 현상이 매해 반복되고 있습니다. 그 원인은 중간 유통에 있습니다. 국내 소고기 유통은 한우 농가부터 도축, 경매, 육가공 등 많게는 8단계를 거쳐야 하고 그때마다 운송비와 수수료가 붙습니다.
"(한 마리당) 생산비 원가가 980만 원 정도 되더라고. 1등급 평균가가 한 600만 원이나 700만 원 정도 나올 거예요. 한 300만 원 정도가 지금 적자가 나는 거죠." -한양수 / 전북 정읍 한우농가 -
해결 방법(?)
아직까지는 중간 유통단계를 줄이지 못해 이러한 가격 부조화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여전히 한우는 비싼 식품으로 남아 서민들이 접근하기 힘들겠죠. 일본 다음으로 소고기가 비싼 나라인 듯합니다.
반응형
'요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10대 뉴스 (0) | 2022.12.27 |
---|---|
부동산 침체 원인과 투자 시점 (0) | 2022.12.14 |
인도네시아 혼전 성관계 금지에 호주가 발칵한 이유 (0) | 2022.1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