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크리스마스인 25일 아리안 5호가 기아나 우주 센터에서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을 싣고 우주로 발사되었습니다. 현재까지 가장 큰 망원경인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잊기 위해서입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WST)
개발에만 25년이 걸린 제임스 웹 망원경은 약 110억 달러(약 13조 원)의 제작비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현재 가장 큰 ‘허블 망원경’보다 약 100배 성능, 육안보다 100억 배 더 강력한 성능을 탑재했다고 합니다. 당초 2007년 발사될 예정이었으나 예산과 기술적인 문제로 수차례 연기 끝에 발사되었습니다.
웹 우주망원경 원리
웹 망원경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길어 우주의 먼지와 가스 구름을 뚫고 더 멀리 가는 근적외선과 중적외선을 포착할 수 있어 빅뱅 이후 초기 우주인 1세대 은하를 관측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임무
지구에서 약 150만 km 떨어진 곳에 배치되고, 준비과정을 약 6개월 정도 거친 뒤에 본격적으로 적외선을 이용해 우주를 관측하게 됩니다.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앞으로 약 10년간 먼 우주에서 138억년 전 빅뱅 직후 우주 형성 초기에 일어났던 현상을 관측할 예정입니다. 또한 외계행성의 대기 구성 성분까지 파악할 수 있어 우주의 기원과 외계행성의 생명체 존재 등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요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미크론, 천마스크는 무용지물 (0) | 2021.12.26 |
---|---|
먹는 코로나 치료제, 화이자 '팍스로비드' (0) | 2021.12.24 |
방역패스 유효기간 6개월 만료되면 QR 경고음 (0) | 2021.12.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