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선거가 이제 코앞으로 다가왔습니다. 여. 야 양당의 대선후보 지지율이 초박빙인 가운데 후보 단일화를 통해 유력 후보들이 지지율을 높이려고 안간힘을 쏟고 있는 모습니다. 혹시 본 투표일인 3월 9일 개인적인 사정으로 투표가 어려운 분들은 '사전투표'일정을 참고해 소중한 한 표를 꼭 행사하셨으면 합니다.
□ 투표 가능 연령
지난 21대 국회의원 선거 때부터 투표 가능 연령이 만 18세로 낮아졌습니다. 생년월일로는 2004년 3월 10일 출생자부터 가능합니다.
□ 사전 투표 일정
본 투표에 앞서 선거 당일 혹은 장소 문제 등의 이유로 투표가 어려운 분들을 위해서 사전투표가 가능합니다.
투표 일시: 3월 4일 ~ 5일(2일간), 06:00~18:00까지
투표 장소: 전국에 설치된 '사전 투표소' 어디든 가능
☞ 사전 투표소 위치 찾기
준비물: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
□ 20대 대통령 (본) 투표 일정
투표 일시: 3월 9일, 06:00~18:00까지
투표 장소: 지정 투표소
☞ 투표소 위치 찾기
준비물: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사진이 첨부된 신분증)
★ 확진 및 격리자 투표 일정★
확진자와 격리자의 경우도 투표가 가능합니다. 사전투표의 경우 3월 5일하루(17시 외출 허용, 18시까지 투표장 도착)만 투표 목적에 한해 외출이 일시적으로 허용되며, 본 투표 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투표 일시: 3월 9일, 18:00~19:30까지
투표 장소: 별도 지정된 기표소 이용
준비물: 신분증 및 외출안내 문자 또는 확진, 격리 통지 문자 필요.
※ 아직 후보자들의 대선 공약을 확인하지 못하셨다면 전 포스팅이 도움이 될 듯합니다.
2022.02.27 - [요즘 이슈] - 2022 대선후보 공약, 부동산 정책, 기본소득, 양도소득세 등
2022 대선후보 공약, 부동산 정책, 기본소득, 양도소득세 등
대통령 선거일이 3월 9일로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대권 후보들의 공약은 어떤 특징이 있는지 실현 가능한 공약인지 등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대선후보들의 공약 비교 여야 대선 후보들이 지
adiba.tistory.com
이번 대선은 "누가 더 나은가?" 라기보다는 "누가 상대적으로 덜한가?"를 평가하는 선거라는 웃픈 말도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군가를 선택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래야만 결과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권리도 생기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요즘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테이블코인(stable coin), 위기장에서 강한 이유 (0) | 2022.03.05 |
---|---|
식당, 카페 등 방역패스 일시 중단 (0) | 2022.02.28 |
2022 대선후보 공약, 부동산 정책, 기본소득, 양도소득세 등 (0) | 2022.0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