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 이슈

NFT 개념, 거래방식, 제작방법 정리

by ţŠ2021. 12. 6.
반응형

NFT라는 생소한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거래방식 그리고 직접 생성(제작) 해 보는 방법까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IT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새로운 용어도 끊임없이 생기고 있어 피로감이 늘어갈 수 있지만, 다르게 생각하면 새로운 기회도 같이 우리 앞에 펼쳐지고 있기 때문에 용어에 기죽지 말고 이러한 변화의 흐름 속에서 기회를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최근에 핫한 이슈로 NFT라는 신조어가 생겼습니다. 비트코인 같은 가상화폐와 비슷해 보이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개념이고 어떤 쓰임이 있는지 하나씩 정리해 봅니다. 

NFT(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
NFT(Non Fungible Token)

 

NFT 란

NFT(Non Fungible Token)는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자산 중 하나입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암호화폐)처럼 거래소에서 거래가 가능한 토큰입니다. 둘 다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이고 거래소에서 거래도 되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NFT가 가상화폐와 다른 점이 있는데.

첫째. '원본이 하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가상화폐는 동일한 코인을 계속해서 채굴할 수 있지만 NFT는 원본이 단 하나입니다. 나머지는 복제품인 것이죠.

 

둘째. 가상화폐는 화폐 단위에 따라 가치를  가지기 때문에 많은수록 가치가 높아지지만 NFT는 블록체인 소유권을 사는 방식이므로 원본 하나만 가치를 갖게 됩니다. 만약 NFT거래소에서 그림을 구매해서 인쇄를 했다면 그 그림은 원본일까요? NFT그림에는 고유의 블록체인 주소가 삽입되어 있는데 이것을 구매한 것이기 때문에 인쇄한 것은 원본이 아닙니다.

 

NFT 범위

해외에서의 거래 사례를 보면 스티브 잡스 애플 창업자가 20대에 쓴 입사지원서가 NFT로 발행되어 거래되었고, 잭 도시 트위터 창업자의 첫 트윗도 NFT로 발행, 거래되었습니다. 이렇게 NFT라는 것은 '블록체인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라면 NFT 발행이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NFT로 많이 발행되고 있는 것은 디지털 미술품입니다. 하지만 이외에 동영상, 음원 등 '블록체인 주소 삽입'을 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것도 '디지털 원본'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NFT는 형태를 가리지 않고 모든 창작물. 저작권 등에 적용이 가능하다. 기념비적인 사건이나 순간의 의미 있는 기록 같은 추상적인 개념도 NFT로 제작할 수 있다. 단, 다양한 형태의 NFT가 더 많이 나오려면 업계에서 다각도로 노력해야 할 것입니다." _ 코인 클러그 대표 어준선(출처. 매경)

 

NFT거래 방법

NFT가 이슈인 이유는 거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거래를 통해서 수익화가 가능하기 때문이죠.  현재 거래 방법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거래 방식 경매 고정가격 판매
(작품을 최저가에서 입찰을 시작해 가격을 올려 제시) (판매자가 가격을 미리 정해 놓고 판매)
거래 방식
선택 기준
싱글: 1개의 NFT를 발행할 때 멀티플: 다수의 NFT를 발행할 때

 

거래대금은 주로 암호화폐 '이더리움'이 사용됩니다. NFT자체가 이더리움 블록체인 기반의 기술이기 때문입니다. JPG 등 디지털 파일을 NFT화 하는 작업을 민팅(Minting)이라고 하는데 이때 이더리움 기술이 사용됩니다.

 

NFT 거래는 현재 해외 플랫폼에서 활발합니다. 해외 플랫폼으로는 '오픈 씨, 라 리블, 민 터블, 메이커스, 플레이스, 바이낸스' 등이 있습니다. 해당 플랫폼에서는 NFT파일을 생성해 판매하거나 기존 NFT 파일을 판매할 수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아직 거래 플랫폼이 초기 단계입니다.

 

NFT거래 수수료

거래가 있다면 수수료와 세금이 발생하게 됩니다. NFT도 마찬가지여서 3가지 수수료가 발생하게 됩니다.

  • 가스 피(Gas fee): 디지털 파일을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해 NFT화(민팅) 작업 시 발생되며 플랫폼에 수수료를 지불
  • 거래 수수료: NFT 거래를 위해 거래 플랫폼에 지불하는 수수료로 가장 큰 NFT거래소 '오픈 씨'의 경우 2.5%를 지불
  • 제작자가 설정한 추가 수수료: 처음 NFT를 만든 제작자가 설정하는 수수료로 거래가 될 때마다 수수료가 제작자에게 지급됩니다.

※ 세금은 아직 과세 여부가 확정되지 않아 부과 대상이 아닙니다. NFT를 '가상자산'으로 볼지 '미술품'으로 분류할지 논의 중이라고 합니다.

 

NFT 제작 방법

  • 우선 NFT화 할 디지털 파일과  NFT 민팅(Minting) 수수료를 가상화폐(이더리움, 클레이튼)로 준비합니다.
  • NFT거래 플랫폼에 접속합니다.(해외: 오픈 씨, 라 리블 등/ 국내: 엔에프팅 등)
  • 'NFT 만들기' 배너 클릭 ▶ 디지털 파일 업로드 후 '제작' 버튼 클릭
  • 거래에 사용할 코인(이더리움 또는 클레이튼) 선택
  • 생성 방식(싱글 또는 멀티플) 선택
  • 로열티 추가 여부 선택(로열티 추가 시 작품이 거래될 때마다 수수료가 제작자에게 지급)
  • 등록 완료

 

NFT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세상에 단 하나뿐인 가치를 부여하는 것으로 투자 가치를 인정받고 있으며, 누구나 쉽게 만들고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은 대중화를 통한 확산이 급속도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봅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