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요즘 이슈454

튀르키예, 터키가 국명(국호)을 바꾼 이유 그리고 대 재앙 지난 6월 2일 UN이 터키의 국호를 Turkiye(튀르키예)로 표기해 달라는 요청을 받아들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터키는 왜 국명(국호)을 바꾸게 된 것일까요? 이후 재난과 관계가 있는 걸까요. 튀르키예(Turkiye) 언어: 튀르키예어 화폐단위: 튀르키예 리라(YTL) 면적: 7,853만 5천㏊(세계 36위) 인구: 8,581만 6,199명(세계 18위) GDP: 8,152억 7,175만 달러(세계 19위) 주요 산업: 서비스업 64.3%, 공업 27.1%, 농업 8.6% 종교: 이슬람 '터키'를 '튀르키예'로 바꾼 이유 터키는 오랜 기간 동안 칠면조, 겁쟁이, 패배자를 뜻하는 동음의 영어 단어 터키(turkey)로 스트레스를 받았다고 합니다. 때문에 터키의 문화와 문명, 가치를 가장 잘 표현하는 단어.. 2023. 2. 16.
요즘 대세 SNS '본디(bondee)' 최근 싱가포르의 한 IT기업(Metadream)에서 개발한 메타기반 SNS인 ‘본디’가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지난 11월 출시되었다고 하는데 최근에서야 입소문을 타고 인기 상승 중이라고 하네요. 본디(bondee) 싱가포르의 IT기업 메타드림(Metadream)에서 Meta기반의 SNS 서비스를 개발하였습니다. 이제는 좀 익숙해진 메타 공간에서 자신의 공간과 아바타를 꾸밀 수 있고 지인들과 채팅도 가능한 것이 마치 카카오톡과 인스타, 싸이월드를 합해놓은 듯한 느낌을 준다는 평입니다. 본디의 기능 친구들과 1:1 채팅부터 그룹 채팅까지 모두 가능 인스타그램처럼 사진과 글을 남길 수 있음 게시글에 친구들이 ‘좋아요’와 댓글을 달 수 있음. 이모지가 아닌 아바타로 자신의 감정 상태를 표현 .. 2023. 2. 13.
대한항공, 국내선 서비스 수수료 도입 3월부터 대한항공이 "다음 달부터 대면 서비스를 이용해 국내선 이용 시 서비스 수수료를 부과한다"라고 발표하였습니다. 계속해서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해 나가는 정책의 일환이라고 하는데요.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았습니다. □ 서비스 수수료 서비스 수수료란 직원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말하고 있습니다. 즉 대면서비스에 대해서 대한항공은 앞으로 수수료를 받겠다는 정책인 듯합니다. □ 수수료 부과(다음에 해당할 때) 구입처: 대한항공 서비스센터, 시내/공항 지점에서 구매 시 티켓: 국내선 일반석 항공권, 마일리지를 이용한 국내선 보너스 및 좌석 승급 항공원 구매 또는 변경 시 수수료: 항공권 당 5,000원(VAT포함) *항공권 서비스수수료 환불 불가 *소아할인 적용 불가 □ 수수료 면제 구입처: 홈페이지/모바일/.. 2023. 2. 11.
교통비 50% 할인 가능한 일명 '반띵 카드' 물가 상승이 계속되면서 대중교통 요금도 인상 또는 인상을 예고하고 있어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한 달에 몇 만 원은 더 지출해야 하니 말이죠. 그런데 올라간 금액만큼 할인을 받을 수 있다면 어떨까요. 지난 8일 롯데카드는 자회사 로카모빌리티와 함께 PLCC(상업자 표시 신용카드) 상품인 ‘로카모빌리티 반띵 카드’를 출시 했다고 발표했습니다. 카드 혜택과 조건 등에 대해 알아볼까요. □ '반띵 카드' 혜택 대중교통 50% 할인 반띵 카드는 월 2만 원 한도로 대중교통을 50%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월 7만 원의 교통비를 지출하는 사람이라면 최대 2만 원을 할인 받을 수 있어 월 5만 원이면 한 달 출퇴근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죠. 대중교통 50% 할인은 현재 카드 업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2023. 2.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