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즘 이슈

코로나 치료제 한세트 82만 원

by ţŠ2021. 10. 18.
반응형

코로나19로 전 세계가 답답한 마스크 착용과 거리두기가 지속되는 가운데 먹는 치료제 개발 소식이 전해져 일말의 희망을 안겨주고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다고 하는데 치료제 가격과 우려점 등을 알아보았습니다.

 

이번에 미국 식약처 FDA 긴급 승인을 요청한 먹는 코로나 치료제는 미국의 제약회사 머크앤드컴퍼니에서 개발한 '몰 누피 라비 르(Molnupiravir)'라고 합니다. 

코로나19 치료제_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코로나19 치료제_몰누피라비르(Molnupiravir)

 

치료제 구성 및 가격

치료를 위해 필요한 한 세트 구성은 200mg 캡슐 * 40정으로 하루에 4정씩 2회 총 5일간 복용해야 한다고 합니다. 

한 세트 당 가격은 현재 700달러 수준으로 원화로 82만 원 수준입니다. 

※ 한 세트 가격: 700달러(한화 약 82만 원)

 

전문가들의 원가 분석에 따르면 한 세트당 원가는 18달러(약 2만 원) 정도로 추정된다고 합니다. 의약품 개발 시 제약회사가 많은 이익을 붙이는 것은 흔한 일이지만 코로나 치료제 개발을 위해 미국 정부가 자금 지원을 했는데도 불구하고 높은 가격을 책정한 것은 과하다는 지적이 있습니다. 

 

제약사(머크 앤드 컴퍼니)의 입장

이러한 비판을 의식했는지 머크 앤드 컴퍼니는 지난 6월 공문을 통해 대책을 발표하였습니다.

  • 나라마다 차등 가격제를 사용할 예정
  • 104개 중소득 국가는 복제약 생산 면허 계약을 진행

 

독점에 따른 우려

제약사의 입장 발표에도 불구하고 머크앤드컴퍼니가 특허, 가격, 공급을 모두 통제할 수 있는 현 상황에 우려할 수밖에 없는 듯 보입니다. 이미 여러 나라는 앞다퉈 치료제 주문에 나서 쟁탈전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영국의 과학분석업체 에어 피니티에 따르면 "현재 10개 국가가 머크와 몰 누피 라비 르 구매계약을 체결하거나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라고 밝혔습니다. 그중에 한국도 포함되어 있다고 하네요.

 

CNN은 상대적으로 백신 도입이 늦었던 아시아 국가들이 치료제 도입에 적극적인 이유는 지난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는 것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백신 도입이 늦을 때마다 언론의 뭇매를 맞았던 경험이 작용한 듯 보이는 대목입니다. 하지만 이런 치료제 확보 경쟁은 가격 인상과 더불어 자칫 자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국수주의로 이어질 가능성도 우려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