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초 5G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이지만 아직도 서비스 품질에는 부족함이 많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세계 최초 5G서비스 시작
한국은 5G서비스를 2019년 4월 3일 밤 11시에 세계최초로 상용화한 나라입니다. 날짜가 뭔가 딱 떨어지는 날짜는 아니네요. 이유를 살펴보니 당시 5G 서비스를 놓고 경쟁하던 미국이 4월 4일에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소문이 접수되었고 국내 이동통신 3사가 황급히 3일 밤 11시로 개통을 일정을 앞당겼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원래 계획은 4월 5일 개통 예정이었다고 합니다.)
5G 특징
빠르다
5G기 4G에 비해 속도가 빠른 이유는 대역폭 넓기 때문입니다. 대역폭이라는 것은 '도로 폭'으로 비유하자면 4G가 왕복 2차선이라고 했을 때 5G는 왕복 10차선 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 도로 폭이 넓으니 당연히 속도가 빠를 수 있는 것입니다.
향 후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VR(가상현실), 자율주행 등이 현실화 되기 위해서는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인 5G 이용이 필수입니다.
빠르지만 약하다
5G는 빠르지만 건물이나 벽 같은 장애물은 잘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멀리 퍼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5G는 4G보다 기지국을 더 많이 설치해야 한다고 합니다.
5G는 2가지
5G는 빠른 5G와 느린 5G 두가지 종류가 있습니다.(물론 느린 5G라도 4G보다는 빠르지만 말이죠.) 그런데 지금까지 설치된 5G 기지국은 '느린 5G용'이라고 합니다. '빠른 5G용' 기지국을 만드는 것이 더 어렵기도 하고, 막상 만들어도 현재는 활용할 만한 곳이 많지 않기 때문입니다.
구분 | 빠른 5G | 느린 5G | 4G |
주파수 대역 | 28GHz | 3.5GHz | |
속도(4G 기준) | 10배 | 3배 | 1배 |
5G가 잘 안터졌던 이유
5G의 이러한 특징(빠르지만 멀리 퍼지지 못함) 때문에 4G 정도의 서비스 품질을 갖추기 위해서는 4G보다 기지국을 더 촘촘히 깔아야 합니다. 하지만 5G서비스를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약속한 기지국수의 절반도 설치하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국에서 5G 서비스가 시작됐을 때 정부는 이동통신 3사가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기지국 숫자를 총 45만대로 정해놨습니다. 서비스 이용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기지국 숫자(총 45만 대: 통신 3사 각 15만 대 설치)입니다. 하지만 지난 2월 기준 5G 설치 대수는 총 20만 대 정도라고 합니다.
그동안 소비자들이 속도가 빠른 것 같지 않다는 비판이 설득력을 갖는 이유입니다. 최초의 5G 서비스라는 타이틀이 의미가 있기는 하지만 가격에 맞는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는 것은 다른 무엇보다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궁금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의미와 인수위 공매도 개선 방향 (0) | 2022.05.06 |
---|---|
청와대 개방, 관람 정보 (0) | 2022.04.29 |
예비 타당성 조사, 타당성 조사 (0) | 2022.04.27 |
댓글